경기도, AI 기반 고독사 예방 서비스 추진
경기도, AI 기반 고독사 예방 서비스 추진
KNEWS365 | kybno1
경기도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‘1인가구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’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확대 진
행한다.
인공지능 활용 ‘1인가구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’는 인공지능이 주1회 대상자와 전화 통화를 통해 이상
징후를 감지하는 기능외에도 전력, 통신, 상수도 이용량 등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고독사 위험을 예측하는 서비
스다. 전력, 통신, 상수도, 휴대폰 이용량이 특정 기간 없거나 감소하는 등 이상 징후가 감지됐을 경우 시군의 복
지 상담사가 직접 서비스 이용자를 찾아 안부를 확인한다.
도는 서비스 운영을 위해 한국전력과 SKT, KT 등에서 통신 관련 데이터를 구매해 매일 오전 4시에 전날 데이터
를 분석해 위험단계를 예측하고 상황별로 알림을 제공하고 있다. 이와 별도로 인공지능이 주 1회 전화를 걸어 식
사 여부 등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. 또한 수혜자, 복지담당자, 모니터링 담당자 등이 함께 사용
할 수 있는 통합 돌봄 플랫폼을 운영해 데이터 등을 관리도 한다.
올해는 위기예측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해 돌봄 대상자의 스마트폰 활동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를 새로 시
작한다. 현재는 전기, 수도 등 자동 계측장비가 있거나 SKT, KT 이용자만 가입이 가능했지만, 앞으로는 스마트폰
의 전원이 꺼져있는지, 통화나 데이터 사용량 여부, 활동량 등을 활용해 위기 예측도를 높일 계획이다. 또, 한국
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, 경기도의료원, 서울대병원 등과 협력해 만성질환, 우울증 등 의료정보도 추가해
고독사 예방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.
이번 사업은 시군 공모를 거쳐 5월 쯤 3~4개 시군을 대상으로 추가 서비스 실증을 한 후 하반기에는 도 전체 31
개 시군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.
이 밖에도 도는 올해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을 분석하고 교정을 지원하는 ‘발달장애인 AI 돌봄 서
비스’도 실증을 준비 중이다. 이 서비스는 인공지능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9개 도전행동을 식별하고 자동
저장, 기록함으로써 행동 교정 전문가의 정확한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. 정확한 원인 규명과 대
응 방법으로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.
김현대 미래성장산업국장은 “인공지능을 선하게 활용하는 경기도의 노력은 인공지능 기술이 단순한 기술적 진
보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, 모든 사람이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하는
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”고 말했다.

kybno1 kyb1472@Knews365.co.kr
<저작권자 © KNEWS365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